전기안전전문가

전선 단면적·차단기용량

선정

일반 부하 분기선 선정 표로 부하 용량, 선식, 전압, 분기선 공사방법(선택사항에 따른 추가 항목- 분기선 설치방법, 분기선 덕트간격, 분기선 케이블 형태, 토양 열저항률, 분기선 케이블 간격, 트레이 종류, 트레이 수, 이격방법), 분기선 주위온도, 분기선 절연체 종류, 분기선 복수회로 수, 분기선 도체 종류, 분기선의 길이, 분기선의 설계 여유, 분기선의 설계 전압 강하 값, 과전류 보호 차단기 종류의 관련 표
부하 용량(kVA)
선식
전압(V)
분기선 공사방법
모선 공사방법 이미지 텍스트
A1 단열벽 속의 전선관에 설치한 절연전선 또는 단심케이블 단열벽 속의 직접 매입한 전선관 내부의 다심케이블 몰딩 내부의 절연전선 또는 단심케이블
A2 단열벽속의 전선관에 설치한 다심케이블
B1 목재 또는 석재 벽면의 전선관에 설치한 절연전선 또는 단심케이블 * 직접 접촉하거나 이격된 전선관
B2 목재 또는 석재 벽면의 전선관에 설치한 다심케이블 * 직접 접촉하거나 이격된 전선관
C 목재 또는 석재 벽면의(접촉 또는 이격) 단심 또는 다심케이블 목재 또는 석재 천정에 직접 고정된 단심 또는 다심케이블
D1 지중에 매설한 전선관 또는 케이블덕트 내의 다심 또는 단심 케이블 * 전선관 또는, 케이블 덕트
D2 지중에 직접 매설한 단심 또는 다심 외장케이블 *기계적 보호가 없는 경우, 기계적 보호가 있는 경우
E 자유 공기 중의 다심케이블 * 벽과의 이격거리는 케이블 지름의 0.3배 이상이어야 함. ** 다심케이블로써 2개 도체 또는 3개 도체
F 자유 공기 중의 단심케이블 * 벽과의 이격거리는 한 케이블 지름 이상이어야 함. ** 단심으로써 2개 부하도체 밀착, 3개 부하도체 삼각배치 *** 단심으로써 수평 3개 부하도체 밀착(맨우측)
G 자유 공기 중 단심케이블 이격 케이블의 지문 이상이여야 함 *케이블간 이격거리(De)는 지름 이상이어야 함 ** 단심으로써 수평 3개 부하도체 이격(수평/수직)
분기선 주위온도(°C)
분기선 절연체 종류
분기선 복수회로 수(회로)
분기선 도체 종류
분기선 설치방법
분기선 덕트간격
분기선 케이블 형태
토양 열저항률(K∙m/W)
토양 열저항률(K∙m/W)
분기선 케이블 간격
분기선 복수회로 수(회로)
트레이 종류
트레이 수(개)
분기선 복수회로 수(회로)
트레이 종류(개)
트레이 수(회로)
이격방법(이격)
분기선의 길이(m)
분기선의 설계 여유(1~1.25 범위 내 설정)
분기선의 설계 전압 강하 값(%) (1~100)
모모선의 설계 전압 강하 값 이미지 텍스트
KESC 380.3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하
표 380-3 수용가설비의 전압강하 기준
설치 유형 조명[%] 기타[%]
A-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의 저압 전기설비 3 5
B-고압 이상으로 수전하는 경우의 저압 전기설비 6 8
【주1] 가능한 최종 회로 내 전압강하가 설치 유형 A에 나타낸 값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2] 사용자의 배선설비가 100 m를 넘는 부분의 전압강하는 미터 당 0.005 % 증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증가분은 0.5 %를 넘지 않아야 한다.
과전류 보호 차단기 종류

선정 결과

  • 계산 전입니다.

단면적 재선정

㎟ 이상의 단면적을 선택하여 아래의 검증 결과가 "적정함"이 나오도록 한다.

일반 부하 분기선 단면적 재선정 표로 단면적 재선정 값의 관련 표
단면적 재선정 값(㎟)

단면적 재선정 결과

  • 계산 전입니다.

최종 계산

도체 단면적 ㎟ 에서의 입력값

일반 부하 분기선 최종 계산 표로 모선과 분기회로 접속점 최대 단락전류, 분기회로와 부하 접속점 최소 단락전류의 관련 표
모선과 분기회로 접속점 최대 단락전류(A)
분기회로와 부하 접속점 최소 단락전류(A)
최종 계산 결과
최종계산결과 구분,결과 관련 내용
구분 결과
계산 전입니다.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